무기화학

무기화학 오비탈 이론 #3

캐미14 2021. 12. 1. 10:21
반응형

에너지준위(Energy level) n=1~4

K​ 주양자수 (n)=1 // s // 1s

L​ 주양자수(n)=2 // s, p / 2s, 2p 

M​ 주양자수(n)=3 // s, p, d // 3s, 3p, 3d

N​ 주양자수 (n)=4 // s, p, d, f // 4s, 4p, 4d, 4f

주양자수 Principal quantum number

큰 껍질 쉘을 말하며 주로 n으로 표기합니다. 

n은 1~4개로 K=1, L=2, M=3, N=4이다.

원자로부터 멀어지면 에너지가 높아지면서 운동성이 크고 발견 확률도 높아진다.

부양자 수 Azymuthal quantum number

작은 껍질로 small shell이라고 하며 l로 나타냅니다. 

부양자 수는 n-1로 즉 s 오비탈 n=1인 경우 l은 0이 됩니다. 

s=0, p=1, d=2, f=3

한 층의 전자는 최대 2개까지 들어갈 수 있고 s, p d, f로 표기한다.

spdf의 풀 네임은 샤프(sharp), 주(principal), 확산(diffuse), 기본(fundamental)이다.

s 오비탈은 n이 1이고 전자 가능 최대 개수는 2입니다. 

l은 0입니다.

p 오비탈의 종류는 4개이며 전자를 가질 수 있는 개수는 최대 8개입니다.

l은 1입니다.

d 오비탈은 5개의 종류를 가지며 최대 10개의 전자를 가질 수 있습니다.

l은 2입니다.

f 오비탈은 7개 종류가 있으며 최대 14개의 전자를 가질 수 있습니다.

반응형